문서
API
pronunciation
standardizePronunciation

standardizePronunciation

한글 문자열을 표준 발음법으로 변경합니다.

자세한 예시는 아래 Example을 참고하세요.

function standardizePronunciation(
  // 한글 문자열을 입력합니다.
  hangul: string,
  options: {
    // 경음화 등의 된소리를 적용할지 여부를 설정합니다. 기본값은 true입니다.
    hardConversion: boolean;
  } = { hardConversion: true }
): string;

Examples

standardizePronunciation('디귿이'); // '디그시'
standardizePronunciation('굳이'); // '구지'
standardizePronunciation('담요'); // '담뇨'
standardizePronunciation('침략'); // '침냑'
standardizePronunciation('먹는'); // '멍는'
standardizePronunciation('신라'); // '실라'
standardizePronunciation('놓고'); // '노코'
standardizePronunciation('곧이듣다'); // '고지듣따'
standardizePronunciation('곧이듣다', { hardConversion: false }); // '고지듣다'
standardizePronunciation('닦다'); // '닥따'
standardizePronunciation('닦다', { hardConversion: false }); // '닥다'
standardizePronunciation('있다'); // '읻따'
standardizePronunciation('있다', { hardConversion: false }); // '읻다'
standardizePronunciation('핥다'); // '할따'
standardizePronunciation('핥다', { hardConversion: false }); // '할다'
standardizePronunciation('젊다'); // '점따'
standardizePronunciation('젊다', { hardConversion: false }); // '점다'

사용해보기


예외사항 안내

한국어 어문 규범 (opens in a new tab) 제7장 음의 첨가 - 제29항에서는

"합성어 및 파생어에서 앞 단어나 접두사의 끝이 자음이고 뒤 단어나 접미사의 첫음절이 '이, 야, 여, 요, 유'인 경우에는, 'ㄴ'음을 첨가하여 니, 냐, 녀, 뇨, 뉴로 발음한다" 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.

예를 들면,

  • 맨입 - 맨닙
  • 꽃잎 - 꼰닙

처럼 발음이 변합니다.

하지만 전역의 경우, 이 규칙에 따르면 전녁이 되어야 할 것 같지만, 전역은 합성어나 파생어가 아니기 때문에 예외적으로 저녁으로 발음하는 것이 맞습니다.

외부의 도움 없이 순수 타입스크립트 로직만으로 주어진 단어가 합성어/파생어인지 단일어인지 정확히 판별할 수 없으므로, 이러한 예외적인 단어들은 별도의 상수 목록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. 이에 따라 예외 처리가 필요한 단일어가 추가로 있다면 적극적인 제보와 기여를 부탁드립니다.